보도자료
2024.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업무협약 | |||||
---|---|---|---|---|---|
작성자 | 기획연구팀 | 등록일 | 2024/11/08 | 조회 | 180 |
첨부 |
![]() ![]() |




https://www.news1.kr/local/sejong-chungbuk/5589111
충북특수교육원, 현장실습·일자리 사업 지원 강화
지영수 / 승인 2024.11.04 18:07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업무협약
이혜경(오른쪽) 충북특수교육원장과 오현숙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이 4일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충북특수교육원 제공>
[동양일보 지영수 기자]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과 일자리 사업 지원을 강화한다.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사회통합과 미래를 준비하는 진로·전환교육'이라는 교육시책을 실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날 협약으로 양 기관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협력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일자리 사업에 대한 협 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을 하기로 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자 중심 맞춤형 현장실습을 활성화하고 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혜경 원장은 “취업 지원 관계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충북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2019년부터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직업 능력개발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약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충청타임즈 2024년 11월 05일 (화) 14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 업무협약 체결 특수교육대상 학생 일자리 지원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특수교육대 상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을 지원한다. 이혜경 특수교육원장은 “취업지원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금란기자
동양일보 2024년 11월 05일 (화) 12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 현장실습·일자리 사업 지원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업무협약
이혜경(오른쪽) 충북특수교육원장과 오현숙 혜원장 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이 4일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충북특수교육원 제공>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과 일자리 사업 지원을 강화한다.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사회통합과 미래를 준비하는 진로·전환교육'이라는 교육시책을 실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날 협약으로 양 기관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협력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일자리 사업에 대한 협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을 하기로 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자 중심 맞춤형 현장실습을 활성화하고 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혜경 원장은 “취업 지원 관계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충북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2019년부터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 직업능력개발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약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충청매일 2024년 11월 05일(화) 12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충북특수교육원 제공
충북특수교육원·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맞손
특수교육학생 현장실습 지원 협력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특수교육대상학생 현장실습 지원 △특수교육대상학생 일자리 사업 협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 사항 등이다. 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직업능력개발원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이혜경 특수교육원장은 “취업지원 유관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정환 기자
지영수 / 승인 2024.11.04 18:07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업무협약
이혜경(오른쪽) 충북특수교육원장과 오현숙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이 4일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충북특수교육원 제공>
[동양일보 지영수 기자]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과 일자리 사업 지원을 강화한다.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사회통합과 미래를 준비하는 진로·전환교육'이라는 교육시책을 실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날 협약으로 양 기관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협력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일자리 사업에 대한 협 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을 하기로 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자 중심 맞춤형 현장실습을 활성화하고 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혜경 원장은 “취업 지원 관계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충북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2019년부터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직업 능력개발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약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충청타임즈 2024년 11월 05일 (화) 14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 업무협약 체결 특수교육대상 학생 일자리 지원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특수교육대 상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을 지원한다. 이혜경 특수교육원장은 “취업지원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금란기자
동양일보 2024년 11월 05일 (화) 12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 현장실습·일자리 사업 지원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업무협약
이혜경(오른쪽) 충북특수교육원장과 오현숙 혜원장 애인종합복지관 관장이 4일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충북특수교육원 제공>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과 일자리 사업 지원을 강화한다.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사회통합과 미래를 준비하는 진로·전환교육'이라는 교육시책을 실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날 협약으로 양 기관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지원을 위한 협력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일자리 사업에 대한 협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을 하기로 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자 중심 맞춤형 현장실습을 활성화하고 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혜경 원장은 “취업 지원 관계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충북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2019년부터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 직업능력개발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약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충청매일 2024년 11월 05일(화) 12면 인물
충북특수교육원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충북특수교육원 제공
충북특수교육원·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 맞손
특수교육학생 현장실습 지원 협력
충북특수교육원(원장 이혜경)은 4일 혜원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오현숙)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현장실습 및 일자리 사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특수교육대상학생 현장실습 지원 △특수교육대상학생 일자리 사업 협력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상호협력 사항 등이다. 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충북발달장애인훈련센터, 강동대, 대전직업능력개발원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이혜경 특수교육원장은 “취업지원 유관기관과 협력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통합과 자립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정환 기자
다음글 | 2024. 하반기 찾아가는 유치원 놀이 중심 직업 체험 |
---|---|
이전글 | 2024. 특수교육 나눔 축제 |